걷기 시작과 자기인식의 관련성
아기가 처음으로 두 발로 일어서는 순간, 부모는 벅찬 감동을 느낍니다. 하지만 아이의 ‘첫 걸음마’는 단지 신체 능력의 발전을 뜻하는 것만은 아닙니다. 걷기 시작한다는 건 곧 아이가 자기 자신을 하나의 독립된 존재로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심리적 전환점이기도 합니다. 이 글에서는 아기의 걷기 시작 시기와 자기인식의 발달이 어떻게 맞물리는지, 그리고 그 안에서 부모가 해줄 수 있는 정서적 지지와 관찰의 방법을 따뜻하게 나눠보려 합니다. ‘걷는다’는 건 ‘나는 나’라는 감각의 시작입니다 둘째 아이가 생후 13개월쯤 처음 걸었을 때, 저보다 아이가 더 놀란 듯한 표정을 지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그 짧은 순간에도 아이는 '무언가 새로운 세상을 접했다'는 듯 두 눈이 반짝였고, 조심스럽게 발을 옮기며 뭔가를 알아차리는 듯 보였죠. 아기가 스스로 움직이기 시작한다는 건 단지 신체 능력이 발달했다는 의미를 넘어서, 자기 자신을 외부 세계와 구분 짓는 사고, 즉 자기인식(self-recognition)이 본격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했다는 뜻입니다. 생후 첫 해 동안 아기의 인식은 주로 ‘엄마’와 ‘자기’의 경계가 모호한 상태에서 이루어집니다. 부모와 자신을 하나의 유닛처럼 인식하던 아기가 어느 순간부터 “내가 움직이면 무언가 달라지고”, “내가 원하면 그쪽으로 갈 수 있다”는 자기 주도적 사고의 틀을 형성하기 시작하죠. 걷기는 바로 그 사고의 물리적 표현입니다. 심리학자들은 걷기 시작한 이후 아이가 거울 속의 자신을 인식하는 시기가 함께 도래한다고 설명합니다. 걷기를 시작하면서 아이는 자신의 신체가 공간과 상호작용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나아가 “내가 누구인지”, “어디에 있는지”를 인식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자기 중심성(Egocentrism)이 형성되기 시작하고, 자율성과 독립성에 대한 욕구가 서서히 자라나는 것이죠. 이처럼 걷는다는 것은 단순한 움직임이 아니라, 자기 존재를 공간과 관계 속에서 처음으로 체험하는 행위입니다. 아이의 걸음걸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