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 수유 시기와 자율성 발달 관계
이유식 시기쯤 되면 부모들 사이에 흔히 오가는 말이 있습니다. “아직도 숟가락 못 잡아요?”, “지 먹겠다고 난리예요!” 귀엽기도 하고 당황스럽기도 한 이 시기의 아이들은 먹는 행동을 통해 자율성을 본격적으로 드러내기 시작합니다. 특히 ‘자가 수유(Self-Feeding)’는 단순한 식사 능력 그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이 글에서는 자가 수유 시기와 아이의 자율성 발달이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직접적인 육아 경험과 함께 따뜻하게 풀어보고자 합니다. 숟가락을 쥐는 순간, ‘내가 할래’가 시작된다 둘째 아이가 생후 10개월 무렵이었을까요. 어느 날부터 갑자기 숟가락을 뺏으려 들더니, 밥을 먹여주면 고개를 돌리고, 손으로 직접 퍼 먹겠다고 떼를 쓰기 시작했어요. 처음엔 그저 ‘귀여운 고집’이라 여겼는데, 돌이켜보면 그때부터 아이는 분명하게 자기 주도권을 행사하려는 신호를 보내고 있었던 거죠. 자가 수유는 단순히 손에 음식을 쥐고 입에 넣는 행위가 아닙니다. 이는 “내가 선택하고, 내가 해내는 경험”으로, 자율성과 독립성의 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첫 단계입니다. 아이의 두뇌는 이 시기, 자율적인 행동을 시도하면서 좌절과 성공을 반복하고, 그 과정 속에서 문제 해결 능력과 자기 효능감을 키워갑니다. 예를 들어, 숟가락을 뒤집어 들고 국물을 엎지르거나, 과일을 한 입에 우겨 넣다가 뱉기도 하죠. 하지만 바로 그 어설픔 속에서 아이는 자신의 몸을 통제하는 법과 감각을 활용하는 법을 익히게 됩니다. ‘스스로 먹는 경험’이 누적될수록, 아이는 자연스럽게 “나는 할 수 있어”라는 내면의 확신을 쌓게 되고, 이는 이후의 놀이, 언어, 사회성 발달로 이어지게 됩니다. 부모가 이 시기의 아이를 어떻게 대하느냐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지저분해지니까 안 돼” “그냥 내가 먹여줄게”라는 말보다는, “네가 해보고 싶구나” “괜찮아, 천천히 해봐” 같은 반응이 아이의 자율성을 지지해줍니다. 아이의 손끝에서 흘러내린 밥풀보다 더 중...